본문 바로가기

밥상살림‧농업살림‧생명살림

지도자론 지도자론글 최성현 홍천 신시공동체 생산자 장일순은 강연을 할 때 질문을 많이 했다. 혼자 이야기를 이어가지 않고 묻고 대답하는 식으로 해 나갔다. ‘지도자란 무엇인가?’ 라는 제목으로 단체장들을 모아놓고 하는 강연에서 있었던 일이다. 청중을 향해 장일순은 물었다.“이 세상에서 가장 고마운 분이 누굽니까?”어머니라는 답이 나왔다.“어머니라고 하셨는데, 왜 그분이 고맙습니까? 밥을 해주시기 때문이지요. 똥오줌을 닦아주시기 때문이지요. 청소를 해주시기 때문이지요. 어머니라고 뻐기기 때문에 고마운 게 아니라는 말씀이에요. 여러분은 각 단체의 대표입니다. 장(丈)입니다. 그러나 거기 앉아 대접받으라고 장이 아니에요. 거기서 어머니 노릇을 하라고 장입니다. 아셨어요?“강릉 한살림(지금의 한살림 강원영동) 이사장이 .. 더보기
게으른 농부에게 사랑 받는 추위에 강한 재래종 파 게으른농부에게사랑 받는추위에 강한 재래종 파 허리를 굽혀야 비로소 보이는 작은 풀꽃들이 지천이다. 어느새 와 있는 봄을 맞이하듯, 기세 좋게 올라오는 파를 들여다보면 마치 길쭉한 풍선을 불어 놓은 것 같다. 지난겨울 전만 해도 이런 모습이 아니었다.파 농사는 기다림의 농사다. 씨를 뿌려 실같이 올라온 것을 옮겨 심고, 다른 농사에 신경 쓰다 보면 어느새 풀에 싸여 찾아보기 어렵게 된 일이 한두 번이 아니다. 그래도 몇 번 풀 속에서 구해 주면 가을에 어느 정도 먹을 만큼 자란다. 겨우 김장에 쓰고 남겨 겨울을 나면, 그때는 정말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씨를 뿌린 첫해만 잘 넘기면 두 해 째부터는 저절로 된다. 파 꽃을 수확해서 씨를 장만하고 그대로 두면 옆에서 다시 올라 온다. 그것도 여러 가닥으로…. .. 더보기
씨앗이 뿔처럼 뾰족하게 생긴 뿔시금치 씨앗이 뿔처럼뾰족하게 생긴뿔시금치 큰 산 북쪽 골짜기에 희끗희끗 눈이 남아 있고, 냇가 버드나무 가지가 시나브로 색을 더해가는 삼월이면 양지바른 돌담옆 시금치 밭이 기지개를 켠다. 겨우내 눈 속에서 추위를 이겨낸 단단한 모습으로….내가 귀농했던 마을에도 어김없이 요맘때면 시금치 밭에 재를 뿌리고 텃밭을 돌보시는 할머니가 계셨다. 시금치는 쪽파와 같이 텃밭의 필수작물인 셈이다. 특히, 뿔시금치는 추위에 잘 견디는 작물이어서 늦여름에서 초가을에 심어 김장철에 먹고, 남긴 것은 겨울을 나고 먹는다. 봄철 입맛을 채워주는 채소로 최고다. 중앙아시아에서 재배되던 것이 우리나라에는 조선 초쯤 전래된 것으로 알고 있다.시금치는 씨앗 모양이 둥근 것과 각이 지고 뾰족한 것이 있는데 ‘뿔시금치’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은 .. 더보기
당신이 있어 가슴이 뛴다 당신이 있어 가슴이 뛴다 가족이 는다는 것은 참 즐거운 일이다. 그러기에 먹고살기가 만만치 않았던 옛날에도 궁핍한 집에 아기가 태어나면 모두 입을 모아 “제 먹을 것은 자기가 갖고 태어난다.”라는 말로 축하했다. 가족은 힘이 되기 때문이다. 울타리가 되기도 하고 힘을 모아 어려운 일도 척척 해낸다. 때로는 멀리 떨어져 자주 볼 수 없는 가족도 어딘가에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위안이 되고 가슴을 펴게 된다. 생각이 다르고 마음이 맞지 않을 때에도 가족은 외롭고 쓸쓸할 때 제일 먼저 생각이 난다.한살림도 마찬가지로 혼자 힘으로는 풀기 어렵거나 함께하면 더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이 많은 커다란 가족이다. 70명의 발기인으로 출발할 때 지켜보던 이들이 될 리가 없다고 했던 한살림이 조합원이 조합원을 늘이며 28년 .. 더보기
하나 됨, 기억보다 더 깊은 글 주요섭 “아이의 휴대전화 번호를 없애지 못했습니다. 아이한테 가끔가다 카카오톡 이런데다 편지를 씁니다. ‘잘 지내고 있지’ 이렇게… 휴대전화는 항상 충전기에 꽂힌 채 24시간 켜있습니다. 그러면 중학교 때 친구들이 딸에게 카카오톡을 보내요. 어떨 때는 밤에도 계속 울려요. 카톡,카톡 그러면서… 보니까 중학교 때 단짝인 아이가 ‘보고 싶다’, ‘사랑한다’고 계속 쓰고 있더군요.”휴대전화 소리에 잠을 깨는 세월호 아빠의 이야기가 가슴을 때립니다. 유족들 대부분은 아직 아이들의 사망신고를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잊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아직 보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억울하고, 분하고, 한스럽고, 안타깝고, 또 너무도 사랑하여 아직 아이의 자취를 지울 수가 없습니다.아닙니다. 보내지 않은 것이 아니라, .. 더보기
그냥 바라보기에 참 좋다 글 김영동 주말 아침 신문에 난 신간안내를 훑어보던 중 「심미주의 선언」이란 아주 작게 실린 책 제목 하나가 눈에 띠었다. 단 몇 줄의 짧은 소개였지만 저자는 ‘삶을 변형시키는 계기로서 심미주의’를 논하며, “각자의 심미적 경험이 시민화 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밝혔다”고 했다. 전혀 새로운 주장은 아니지만, 실용적인 면보다 환경과 자연을 함께 생각하며 사물의 가치를 판단하는 한살림이야말로 그런 계기서 만든 모임 아니던가. 내가 아는 초기 한살림의 분위기는 심미적 경험의 의미를 충분히 깨닫고 있는 사람들이거나 아니면 잠재적으로 미적 감수성이 남다른 이들이 모인 집단이었다고 생각한다. 우리 몸에 좋은 식품이나 농산물을 특별히 과학적인 지식이 있어서도 아니고, 감성적으로 알아보는 눈과 마음을 가졌던 사람들.. 더보기
희망을 지키는 선택, 살림의 편에 서다 글 강수돌 윤제균 감독의 영화 은 흥남부두에서 큰 배를 타고 부산으로 피난을 가는 덕수네 가족 이야기를 다룬다. 단순한 개인사가 아니라, 실은 1950년대 한국전쟁 시기로부터 시작하여 1964년 처음 전개된 독일 파견 광부와` 간호사 이야기, 그리고 1970년대 베트남 전쟁과 1980년대의 남북 이산가족 찾기 캠페인 등 한국 현대사를 아우르는 가족사다. 이 영화에는 ‘삶’의 관점에서 몇몇 인상적인 장면이 나온다. 첫째, 1950년 12월 흥남부두(함경남도)에서 중공군의 폭격을 피해 철수하는 미국 유조선이 최종적으로 “무기를 버리고 사람을 태우라.”라는 장군(원래는 선장)의 명령에 따라 피난민을 태우는 장면이다. 선장 레너드 P. 라뤼는 유조선이라 사람을 태울 수 없었음에도 전쟁을 피해 영하 20도에도 바.. 더보기
공동체가 성공할 수 있는 두 가지 비결 공동체가 성공할 수 있는 두 가지 비결글 최성현 홍천 신시공동체 생산자 한 가족과 세 명의 젊은이가 경북 청송군에서 한집 살림을 시작하기로 했을 때의 일이다. 작은 크기의 공동체가 시작되는 셈이었다. 그 일을 곁에서 도왔던, 충북 괴산에서 농사를 짓고 사는 김윤칠이 그 소식을 장일순에게 전하며 어떻게 하면 그들이 뜻을 이뤄가며 화목하게 잘 살 수 있을지를 물었다.“나 같은 건달이 그런 걸 어떻게 알겠어.” 장일순은 웃으며 이렇게 운을 떼고 말을 이어갔다. “그러나 다음 두 가지는 얘기를 할 수 있겠지.여럿이 모였다면 깃발이 있을 것 아냐. 어떻게 가겠다는? 그 깃발 아래 모였으니 깃발을 중심으로 해야 할 테지만 깃발을 너무 앞세울 때는 함께 가는 사람 가운데 늦게 일어난다거나 일을 게으르게 하는 사람이 .. 더보기
개별 스위치가 있는 멀티탭을 사용해요 더보기
구제역 예방 동물복지 차원의 한살림축산이 답이다 이제홍 한살림축산영농조합법인 생산자 구제역은 소, 돼지, 염소, 양과 같이 발굽이 2개로 갈라진 우제류 가축들에게 발생하는 병이다. 증상은 고열과 함께 거품이 섞인 침을 흘리고 입안에 염증과 입술, 유두, 발굽 주변에 물집이 생기는 것이다. 인수공통병이 아니며 감염된 고기를 사람이 먹어도 문제는 없지만 가축에 따라 치사율이 70%까지 달하고 전염성이 강해 감염된 가축과 접촉했던 가축은 대개 매몰 처분한다.국내 축산 농가들은 축사 위생에 신경 쓰고 백신 접종을 통해 구제역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2014년 12월, 구제역이 다시 발생했다. 충북 진천의 한 농가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농가와 정부의 노력에도 전국으로 확산되는 형국이다. 자칫하면 2010년 11월 발생해 2011년 4월까지 무려 35..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