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지 발자취/자연에서 온 귀한 것

생산자와 소비자힘 모아 함께 지키는한살림 한우

 

 

생산자와 소비자힘 모아 함께 지키는한살림 한우

 

글•사진 문재형•박근모 편집부

2008년 광우병 우려가 있는 미국산 소고기 수입이 재개되면서 촛불집회가 벌어졌을 때, 설령 미국산 소고기 수입이 시작되더라도 광우병을 걱정하면서까지 미국 소고기를 소비하는 이들이 많을까? 생각한 이들이 적잖았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았다. 통계자료를 보면 미국산 소고기는 2007년 1만4616톤에서 2012년 9만9929톤으로 수입량이 크게 늘었다. 한우 사육농가는 2012년 9월 15만7천 가구에서, 2013년 9월 13만8천 가구로 불과 1년 만에 2만 가구 가량 줄었다. 한우 평균가격이 2007~2011년 마리당 525만 원에서 2012년 466만4천 원으로 크게 떨어진데 비해 국제 곡물가와 함께 사료값이 많이 올라가 한우 사육을 포기한 농가가 늘어난 때문일 것이다. 정부는 피해를 입은 한우농가에 FTA 피해 직불금을 지불하겠다고 했지만 대다수 농가들은 그 보상금액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이런 식이라면 ‘한우’ 자체가 지속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다행히 한살림 한우는 시장의 이런 분위기와 달리 일정한 가격을 유지하며 꾸준히 소비되고 있다. 감사한 일이다. 한살림이 애초에 시장체계를 넘어서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협력하며 책임생산 책임소비를 위해 노력해 왔고 사료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온 점도 반영된 때문일 것이다. 가격 등락에 따라 민감하게 움직이는 시장의 생리를 생각하면 시중 가격이 하락해도 한살림 한우를 꾸준히 선택하는 것은 당장 눈앞의 금전적인 이득만이 아니라 물품에 담긴 우리 농업과 지구환경, 구체적으로는 농민 생산자를 위해 이들을 신뢰하고 생산 활동이 지속되도록 응원하겠다는 생각이 반영된 결과다.

무항생제 Non-GMO사료로 햇살과 바람 통하는 축사에서
건강하게 키운 한살림 소

무항생제 Non-GMO사료로 햇살과 바람 통하는 축사에서 건강하게 키운 한살림 소

2012년 우리나라의 1인당 고기 소비량은 44kg으로 1980년 11.3kg에 비해 4배가량 늘었다. 소득이 늘고 식성이 서구화된 탓일 것이다. 고기라고해서 농업과 무관한 게 아니다. 소고기 1kg을 생산하는데 곡물 20kg이 필요하다고 한다. 우리 식량자급률이 날로 낮아지고 있는 것은 농업생산이 준 탓이 있지만 수입사료로 키우는 고기 소비가 늘어난 탓도 크다. 한살림은 고기 소비를 절제하고 소박한 밥상을 차리자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육식은 분명 권장할 일이 아니다. 육류소비를 절제하되 부득이하게 소비할 경우에는 사료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 사육환경, 논밭농사와의 생태순환까지 생각한 좀 더 나은 고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하자는 데서 한살림 축산물은 출발했다.

고기소비 줄인 소박한 밥상이 바람직하지만
한살림 한우는 키워서 도축해 공급할 때까지 24개월 정도의 기간이 필요하다. 또한 공산품들과 달리 수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공급을 조절하기도 어렵다. 이런 점을 감안해 생산자, 소비자들과 긴밀히 협의하며 생산과 공급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러다 보니 안심살이나 스지도가니살 같이 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은 부위들은 이용량을 제한할 수밖에 없다. 조금 불편할 수 있지만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협의하면서 계획에 따라 사육하면 가격변동도 크지 않고, 길게 보면 생산자와 소비자가 모두 안정적으로 살림을 꾸려가는 데 도움이 되니 받아들일 만 한 일이다.
한살림에 공급되는 한우는 Non-GMO한우와 유기한우가 있고 한살림성남용인 등 일부 회원생협에서 명절 때 매장 등으로 공급하는 국산사료한우가 있다.

동물복지 생태순환, 한살림축산의 기준 만든 한축회, Non-GMO한우
한살림에 공급되는 한우 중 비중이 제일 큰 것은 Non-GMO한우다. 모두 46농가에서 2,820마리 정도 사육하면서 한 달에 120마리 가량 공급하고 있다. 주로 충북 괴산에 있는 한살림축산영농조합법인(이하 한축회)이 생산을 담당하고 있고 충남 아산과 부여의 생산 농가들도 매달 20마리 분량의 소고기를 내고 있다.
1999년 괴산지역 한살림 생산자들이 설립한 한축회가 고심하면서 하나하나 선택해온 사육방식이 한살림 축산의 기본틀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순히 고기를 출하하겠다는 생각이 아니라 동물복지 등을 고려해 마리당 2.5평 이상의 넓이를 확보하게 한 뒤, 볕과 바람이 잘 통하는 축사 바닥에 짚과 건초 등을 깔고 토종 미생물 등으로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는가 하면 오폐수 처리와 축분을 발효 퇴비로 만들어 논밭 거름으로 넣어 땅을 비옥하게 한 일. 7개월 이전까지 질병예방을 위한 백신 접종을 하고 그 뒤로는 질병이 없는 한 접종을 하지 않고 처음부터 무항생제사료를 먹여왔으며 2002년부터는 한 걸음 더 나아가 Non-GMO사료로 키운 한우를 공급해 온 일들이 그렇다

오진영 충남 아산연합회 도고지회 생산자

오진영 충남 아산연합회 도고지회 생산자

본디 풀을 먹고 되새김질을 해오던 소에게 옥수수를 집중적으로 먹이면 위에 탈이 나고 지방이 근육 속에 축적돼 소위 ‘마블링’이 잘된 등급 높은 소고기가 생성된다고 한다. 이런 이유 등으로 마블링 정도에 따라 소고기에 등급을 매기는 현행 제도에 대해 한살림은 동의하지 않는다. 한살림 생산자들을 자신들이 내는 소고기들이 우리나라의 현행 등급제로는 높은 등급을 못 받더라도 사육과정 등을 보면 감히 ‘특급’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한축회는 2009년, 콩깍지, 짚, 풀 같은 거친 조사료와 곡물사료를 고르게 섞어 소에게 먹일 수 있고 사료자급률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는 완전혼합사료(TMR Total Mixes Ration) 공장을 세웠다. 이런 노력으로 현재 한축회의 국산사료 비율은 30% 정도이며 이를 40% 이상으로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살림이 돼지 사육에 도입한 ‘우리보리살림사료’가 한우 사육에까지 적용되면 이보다 훨씬 높은 사료 국산화비율도 가능할 전망이다.

 

TMF(완전혼합발효사료)

TMF(완전혼합발효사료)

생태기준으로는 한살림 소고기가 1등급
한살림축산의 또 다른 한 축은 유기한우다. 한살림 유기한우는 충남 아산지역 5개 농장이 뭉친 아산유기한우생산자모임에서 공급한다. 그리고 이 한우들이 먹을 사료 역시 아산의 한살림생산자들이 세운 푸른들축산에서 동물성원료, GMO원료, 성장호르몬, 비육촉진제, 항생제는 빼고, 주로 인근 지역에서 나온 유기농 볏짚과 쌀겨, 청치(덜 익은 쌀)를 넣어 만든 유기농사료다. 사료 원료를 스팀으로 쪄내고, 발효시킨 완전혼합발효사료(TMF Total Mixed Fermented Ration)이기 때문에 소에게 이롭다고 한다. 소를 키우면서 나오는 소똥은 발효를 거쳐 양질의 퇴비가 되어 다시 땅으로 돌아간다. 이렇게 한살림 유기한우는 지역의 생태를 살리고, 지역의 경제에 이바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유기한우 수요가 적은 편이고 이 때문에 사료 소비도 그다지 많지 않아 유기농 사료 생산라인 가동률이 5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유기한우를 기르는 농장은 여유롭고 깨끗하다. 유기축산물 인증을 받은 것은 물론이며 축사공간이 넉넉하고, 한쪽 편으로는 넓은 목초지가 있다. 목초지는 인증에 꼭 필요하기도 하지만 이곳에서 옥수수 등 사료작물을 생산하기 때문에 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축사 내에는 한 구획에 4~5마리 가량의 소들이 있다. 공간이 넓은 만큼 소들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질병에도 잘 견딘다고 한다. 축사내에는 분뇨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데 미생물 무기질 활성 음용수(BMW Bacteria Mineral Water)설비를 도입했기 때문이다. 햇볕 잘 들고 바람도 잘 통하는 축사, 소들이 충분히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한 일, 항생제와 성장촉진제 들어간 사료를 일체 먹이지 않는 일, 뿔을 자르거나 거세를 시키지 않는 동물복지를 고려한 사육환경은 유기축산과 Non-GMO 한우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사료 기준 등이 좀 더 각별하다고 보면 된다.
쾌적한 환경에서 자라고 있는 한살림 한우들을 보면 여느 식탁들에 오르는 소고기들도 저렇게 편안한 환경에서 길러지고 있을지 의문이 든다. 그런데 상황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한살림이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는 사육환경 등과는 무관하게 아예 한국의 축산업 자체가 벼랑 끝에 내몰려 있기 때문이다.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이 건강한 우리 농산물, 이들과 생태순환 고리로 연결돼 생산되는 건강한 축산물들을 균형 있게 섭취하며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자는 것. 그것이 축산을 바라보는 한살림의 시각이다.

한살림한우

한살림 유기한우 장보기
한살림 Non-GMO한우 장보기
한살림한우를 이용한 요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