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지 발자취/자연에서 온 귀한 것

햇빛과 바람 속에서 자식처럼 기른 쌀 사과 배

햇빛과 바람 속에서 자식처럼 기른 쌀 사과 


문재형, 박지애 편집부·사진 문재형 편집부, 류관희


가을이 깊어지고 있다. 단풍이 물들고, 높고 푸른 하늘이 마음을 설레게 하는 것도 이맘때이다. 햇곡식과 햇과일을 맛보는 것도 이즈음에만 누릴 수 있는 축복이다. 우렁이와 농부,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기른 쌀, 동글동글 붉은 모양만큼이나 영양만점 사과, 아삭하고 달콤한 맛이 일품인 배로 깊어진 가을을 한껏 느껴보자.


우렁이와 농부,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기른

한살림 쌀


식단이 서구화되면서 밥 대신 빵을 먹는 게 흔한 일상이 되었다. 1인당 쌀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마당에 정부는 일방적으로 쌀시장 전면 개방 선언까지 했다. 그래도 한국인의 밥상에서 쌀을 빼는 건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밥심이라는 말이 있다. 라면을 끓여 먹을 때도, 고기를 먹을 때도 밥은 꼭 있어야 한다. 다른 먹을거리들이 어쩌다 쌀을 대체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쌀은 여전히 우리의 ‘주식’인 것이다. 1986년 한살림의 시작도 ‘쌀가게’였다.

한살림 쌀 생산지는 경남 산청, 전북 부안, 충남 아산, 강원 홍천 등 전국적으로 20곳이 넘는다. 지난 해 677세대의 생산자가 1118만㎡(340만 평)의 논에서 굵은 땀을 흘려 442만kg의 쌀을 생산했다. 한살림에 공급되는 쌀은 우리가 흔히 쌀이라 부르는 멥쌀과 찰기가 있는 찹쌀이 있고, 쌀마다 도정을 달리해 공급한다. 멥쌀에는 왕겨만 벗기고 쌀겨는 벗기지 않은 현미, 쌀겨를 완전히 벗긴 백미, 현미와 백미 중간 정도로 쌀겨를 벗긴 오분도미가 있다. 찹쌀에는 현미와 백미가 있다. 그 외에 녹미, 흑미, 발아현미 등도 있다.

한살림 쌀농사도 보통 쌀농사처럼 봄이 오면 모판을 내고 모내기를 하며 가을에 수확을 한다. 하지만 몸에 해로운 농약과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오롯이 유기농으로 길러 낸다는 점이 다르다. 이럴 경우 피처럼 논에 빼곡히 나는 잡초를 뽑는 일이 여간 힘든 게 아니다. 농부의 힘으로만 감당하기 어려운 탓에 우렁이의 도움을 받는다. 모내기를 하고 661㎡(약 200평)당 4~5kg의 우렁이 알을 뿌린다.

우렁이가 알을 까고 나오면 잡초를 먹는다. 우렁이는 이미 어느 정도 자라서 줄기가 질기고 두꺼운 벼들은 먹지 않는다. 올해 초에 돌아가신 한살림 최재명 생산자가 창안했고 대부분의 우리나라 유기농 농부들이 실행하는 ‘우렁이농법’이다.

약을 치지 않으니 한살림 논에는 깔따구, 물방개, 메뚜기 등 다양한 논 생물이 살아간다. 한살림 생산자들은 가을에 소비자 조합원을 논으로 초대해 메뚜기잡기 행사를 연다. 함께 메뚜기를 잡으며 어른들은 추억을 떠올리고 아이들은 태어나서 처음으로 논에서 맘껏 뛰어 논다. 수확이 끝나고 한 해 쌀농사가 마무리될 쯤 생산자 회원과 소비자 조합원은 또, 한자리에 모인다. 1989년부터 시작된 ‘쌀값결정회의’다. 회의에서는 내년도 쌀 생산량과 수매가격을 결정한다. 보통의 가격결정회의와 달리 소비자는 가격을 올리라 하고 생산자는 가격을 내리라 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한다.

쌀은 탄수화물 외에도 우수한 단백질과 비타민,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분을 가지고 있고, 논은 홍수조절, 대기정화, 토양보전 기능 등이 있다. 흔히 보고 흔히 먹어와 소홀히 여기기도 하지만 우리 조상들이 괜히 쌀을 주식으로 삼고 먹어온 게 아니다.


동글동글 붉은 모양만큼이나

영양만점

한살림 사과


그리스·로마 신화에 등장할 만큼 오래 전부터 재배되어온 사과는 중앙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오래전부터 능금이라는 품종이 우리나라에서 재배되었지만 지금 우리가 맛보는 사과 품종이 들어온 것은 1900년경이다. 미국인 선교사가 들여왔다고 전해진다.

‘하루 한 알 사과를 먹으면 의사 볼 일이 없다’는 영국 속담이 있을 만큼 사과는 몸에 좋은 과일이다. 사과에 들어 있는 칼륨은 나트륨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데 도움을 줘, 고혈압 환자에게도 좋다. 또한 아침에 먹는 사과를 ‘금사과’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사과에 들어 있는 산이 위를 자극하여 식욕을 돋우고, 소화흡수를 돕고, 피로를 풀어주기 때문이다. 사과는 깎아서 먹는 것보다 껍질까지 먹는 게 더 좋다. 껍질에 들어 있는 섬유질이 장을 튼튼하게 해 주고, 펙틴 성분이 콜레스테롤과 혈당을 낮춰주기 때문이다.


한살림에서는 조생종인 아오리, 중생종인 홍로, 양광, 만생종인 부사 등을 공급한다. 생산지는 경북 의성·상주·영천, 경남 거창, 충북 충주 등이다. 사과 농사는 이미 지난 해 겨울부터 시작된다. 겨울부터 봄이 올 때까지 가지치기를 하고 과수원에 퇴비를 뿌려 땅심을 돋운다. 꽃이 피면, 꽃을 솎아주고, 열매를 맺으면 일일이 열매를 솎아주는 것도 알찬 열매를 수확하기 위함이다. 틈틈이 나무 밑에 자란 풀을 베어주는 것도 농부의 몫이다.


한동섭 황정자 경북 상주 햇살아래공동체 생산자 부부

한살림에서 나오는 물품들은 대부분 무농약 이상 재배를 하지만 병충해에 민감하고 당도가 높은 사과는 병충해 피해가 커 어쩔 도리 없이 저농약재배를 함께 하고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한살림은 시중의 저농약재배보다 훨씬 더 엄격한 자체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제초제, 토양소독제는 물론 독성이 강한 농약, 생장조절제 등도 일절 금하고 있다. 농약 방제 횟수도 7번으로 제한한다. 그 대신에 한살림 생산자들은 친환경자재인 석회보르도액, 석회유황합제, 미생물제제 등을 사용한다. 석회보르도액은 친환경 과실 농사에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자재로, 종합살균제 역할을 할뿐 아니라 과육에 칼슘을 공급하는 역할도 한다. 공급 받은 사과에 묻어 있는 석회보르도액은 식초 탄 물에 헹구면 쉽게 닦인다.

아삭하고 달콤한 맛이 일품

한살림 배

달고 아삭한 맛이 일품인 배는 고대그리스 시인 호머의 『일리야드』에도 기록이 돼 있을 정도로 오래전부터 재배돼 온 과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신라시대의 문헌에 배나무를 기르는 법이 기록돼 있다.전통 의학서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배는 폐를 보하고 신장을 도우며, 종기의 독과 술독을 푸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기록한다. 배는 또한 칼륨, 식이섬유, 솔비톨, 폴리페놀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당뇨병에도 좋고, 변비, 콜레스테롤 상승을 억제하는데도 좋다.


조영분 이성열 충남 아산연합회 생산자 부부

한살림은 조중생종인 황금, 원항, 만풍과 만생종인 신고 등의 배를 공급한다. 생산지는 충남 아산, 세종, 전남 순천·나주, 경북 김천, 경기 여주·파주 등이다.

배 농사의 시작은 배 수확이 끝나는 10월에 퇴비를 주며 시작한다. 이듬해 꽃이 피면 하나하나 수정을 하는 것도, 열매가 맺고 나면 일일이 솎아주는 것도 농부의 몫이다. 배는 당도가 높은 만큼 병충해가 심해 농약 없이 키우기가 무척 힘든 작물이다. 그러다보니 한살림에도 유기재배나 무농약재배보다 저농약재배가 많다. 하지만 한살림 저농약 배는 시중의 저농약 배들보다 더 엄격한 기준을 세워놓았다. 고독성, 발암성, 침투이행성 농약은 사용을 일절 금하고 대단히 독성이 낮은 농약에 한해 연중 6회 이내로만 쓸 수 있게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출하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사용하는 지베렐린 같은 성장조절제도 한살림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똑같은 모양의 저농약재배 표시를 달고 있어도 한살림 물품은 훨씬 더 까다롭고 엄격한 재배기준을 통과한 것들이다. 제초제를 치지 않기 때문에 뜨거운 여름에도 서너 번 김을 매야 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 배는 표면에 쉽게 상처가 생기기 때문에 행여 손자국이 남을까 수확 때도 조심한다.

매장이나 공급을 통해 우리가 손쉽게 만나는 배는 이렇게 정성 가득한 손길들을 거친 것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