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지 발자취/살리는 말

<살리는 말> 생활협동운동1

 

 

윤선주 한살림연합 이사

 

서구에서 일어난 산업혁명의 기반 위에 자본주의 사회가 등장하면서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 열악한 환경, 보장되지 않는 일자리 등으로 도시 노동자들의 삶은 말할 수 없이 비참했습니다. 이런 처지에서 이들은 두 방향에서 희망을 찾는데 하나는 노동자들의 단결을 통한 노동조합의 결성과 이를 바탕으로 한 공산주의 혁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생활의 협동을 통한 협동조합의 결성과 운영이었습니다.

초창기 협동조합의 목표는 전체 생활의 협동을 통한 생산과 소비 모두를 아우르는 공동체 형성이었습니다. 맑스가 공상적 사회주의자라고 불렀던 오웬, 푸리에, 생시몽 등은 모든 생활을 함께하는 공동체를 건설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이와미 다카시라는 일본 학자는 그런 공동체를 제1세대 협동조합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자본주의 시스템 속에서 이들이 기획한 고립적인 공동체는 전부 와해되고 맙니다. 거대 자본의 생산력을 따라 갈 수 없었고 그들의 결속력이 부족했던 것도 이유가 되었습니다. 일부 종교적인 공동체는 아직도 건재하지만 사회적 대세를 만들지는 못했습니다.

그 다음에 전개된 것이 기능적 협동조합운동인데요, 현재 보편화 된 농협, 소비자협동조합, 신용협동조합 등을 말합니다. 영국 로치데일의 공정개척자 협동조합이 모태인 이 제2세대 협동조합은 생활의 한 부분을 기능적으로 조직합니다. 소비생활이나 신용부문, 혹은 유통의 한 부분을 조직하여 협동화하는 것이지요. 그 대표적인 것이 소비자협동조합으로 생활이 어려웠던 도시 노동자, 사회적 약자들이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협동의 힘으로 공동구매를 통해 생필품을 값싸게 사면서 삶의 질을 향상시켰습니다. 이런 기능적 협동조합운동은 전 세계 2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여하여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의 특징은 생산에 의한 소비의 조직화라 할 수 있는데 생산한 물품의 소비를 통해 자본의 이윤이 창출되므로 소비 조장을 위한 광고나 대중조작 등이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소비자협동조합에서 사회적 약자인 소비자의 권리를 주장하고 “소비자 주권”이라는 말이 등장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릅니다.

사실 협동조합운동 초창기에 영국에서는 노동자생산협동조합과 소비자협동조합의 주도권 문제가 논란이 되었던 적이 있습니다. 노동자생산협동조합 중심으로 자본주의 사회를 다시 짜야한다는 주장과 소비자협동조합이 사회적 주류가 되어 생산을 조직해야 한다는 주장의 충돌이었지요.

하지만 우리가 깊이 생각할 것은 소비자협동조합 중심주의나 “소비자 주권”이라는 생각은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공업사회라는 기형적인 틀 속에서 등장한 것이며 생산, 유통, 소비, 폐기라는 생태적 순환과정의 한 부분만을 대변한다는 것입니다. 즉, 생산, 유통, 소비, 폐기의 전 과정에 주권이 있어야하고 어느 한 부분의 주장을 확장시켜 전체화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합니다.

※‘생활협동운동②’는 다음 소식지에 이어서 실릴 예정입니다.

-------------------------------------------------------------------------------------글을 쓴 윤선주 님은 도시살이가 농촌과 생명의 끈으로 이어져 있다는 믿음으로 초창기부터 한살림 운동에 참여했습니다. 지금은 한살림연합 이사로 일하며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이웃들과 나누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