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리는 말|모심과 살림 연구소에서 출간한 모심살림총서 3 <<살림의 말들>>에 수록된 말들을 되새기며 음미합니다.
글|윤선주 · 한살림연합 이사
모든 생명 있는 존재들은 아주 작은 씨앗에서 시작합니다. 종에 따라 크기가 다르기는 하지만 큰 씨앗이 반드시 크게 자라거나 작은 씨앗이라고 작게만 자라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기르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변수가 될 수도 있고 누가 기르느냐가 중요해지기도 합니다. 88번 농부의 손길로 기르는 벼가 있는가 하면 우주만물이 함께 기르는 들풀, 작은 벌레, 하늘의 새도 있습니다. 물론 벼도 순전히 농부의 손으로만 기르지는 않지요. 눈에는 보이지도 않는 흙 속의 미생물조차 어머니 대지의 자식들을 함께 기릅니다.
그리고 사람은 자신의 아이를 자기 몸속에서부터 기르기 시작합니다. 어떤 아이로 기를 것인지 부모가 함께 생각하고 아직 눈에 보이지도 않는 아이를 위해 바른 생각, 고운 마음으로 스스로를 기르기 시작합니다. 아이로 인해 세상이 달라 보이고 내 아이가 귀하고 소중하므로 세상의 모든 아이를 사랑하게 됩니다. 열 달을 기다려 세상과 마주한 아이가 자기 힘으로 먹고 걸으며 크는 동안 부모도 아이로 인해 많은 것을 배우고 변합니다. 이렇게 보면 아이와 부모는 서로를 잘 기르는 관계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자연과 농부가 함께 기른 이 땅의 모든 먹을거리로 우리는 밥상을 차립니다. 그 밥상에 식구가 둘러앉아 먹고 마시면서 아이들은 자라고 어른들은 단단해집니다. 사람과 자연이 협력해서 기른 먹을거리가 이제는 사람을 기르는 셈이지요. 아마도 일방적으로 기르기만 하거나 키워지기 만하는 사이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렇게 서로를 변화시키고 기르는 일이 모든 생명체가 서로 관계 맺는 방식이고 살아가는 방법이겠지요.
그러나 무엇보다도 스스로를 기르는 것이 어쩌면 가장 중요한 기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생명이 깃든 먹을거리로 나를 잘 먹이고 올바르고 밝은 생각으로 자신을 지키고 생각한 대로 움직인다면, 그리고 그런 사람들과 함께 나와 내 이웃의 행복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어쩌면 온 세상의 아이들을 잘 기르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어요. 자신을 기르는 일은 아마도 자기 안의 여린 새싹을 정성껏 돌봐 큰 나무로 키우는 일과 같지 않을까요?
이렇게 기른다는 일은 그 대상이 내가 됐든, 아이를 포함해서 남이 됐든 각 사람이 품고 있는 작은 씨앗을 알아보는 일부터 시작하겠네요. 그 씨앗이 품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찾아 내 매일, 매일 관심을 갖고 필요한 부분을 채우려고 노력해서 한 그루의 나무로 우뚝 서도록 보살피는 일일 거예요. 그러면 자기 크기만큼 이 세상의 시원한 그늘도 되고 예쁜 꽃도 피우고 간혹 먹음직한 열매도 맺을 수 있을 테니까요.
----------------------------------------------------------------------------------------
글을 쓴 윤선주님은 도시살이가 농촌과 생명의 끈으로 이어져 있다는 믿음으로 초창기부터 한살림 운동에 참여했습니다. 지금은 한살림연합 이사로 일하며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이웃들과 나누고 있습니다.
'소식지 발자취 > 살리는 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리는 말> 한살림 (0) | 2011.11.01 |
---|---|
<살리는 말> 님 (0) | 2011.09.27 |
<살리는 말> 모심 (0) | 2011.07.27 |
<살리는 말> 살림 (0) | 2011.07.08 |
<살리는 말> 한 (0) | 2011.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