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지 발자취/자연에서 온 귀한 것 썸네일형 리스트형 달고 향긋한 노지재배 시금치 달고 향긋한 노지재배 시금치글‧사진 문재형 편집부 사실 한살림 시금치는 사계절 내내 공급된다. 4월부터 11월까지는 충북 청주, 청원에서 시설재배한 것이 나오고 12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는 전북 부안과 전남 해남의 노지에서 키운 시금치가 공급된다. 이맘때 나오는 노지 시금치는 탁 트인 들판에서 눈보라와 겨울 바람을 맞고 자란다. 추위를 견디느라 모양이 매끄럽지만은 않지만 달고 고소한 맛에 향마저 일품이다. 노지 시금치 농사는 보통 지난 해 가을 파종하기 전에 퇴비를 넉넉히 넣어 땅을 갈아주는 것부터 시작한다. 여기에 잡초를 억제하기 위해 비닐을 덮는다. 파종을 한 지 약 3개월이 지나면 15센티미터가량 자라 수확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출하시기를 고려해 9월부터 11월까지 시차를 두고 파종을 한다. .. 더보기 생명이 살아있는 대지의 힘으로 눈보라를 뚫고 자라난 한살림 겨울 대파 생명이 살아있는 대지의 힘으로 눈보라를 뚫고 자라난 한살림 겨울 대파 글·사진 문재형 편집부 겨울이다. 수은주가 영점 아래로 떨어지고 아침이면 하얀 서리가 들판을 뒤덮는다. 찬바람이 거세져 옷깃을 여미고서도 집밖으로 나서기가 꺼려지는 때다. 사람도 자연계의 생물들도 바깥활동을 자제하면서 비축해둔 양분으로 겨우살이 하는 것이 어쩌면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일일지 모르겠다. 겨울에도 어렵지 않게 푸른 채소를 먹을 수 있게 된 시절이지만 무언가 어색하다. 흙내가 덜하다고나 할까? 겨울에는 강렬한 생명의 기운에 대한 갈증이 더욱 심해진다. 다행히 한 겨울에도 푸른 채소들을 만날 수 있다. 서리 내린 들판에서 건강한 대지가 길러낸 한살림 겨울 대파가 있다. 대파는 마늘과 함께 한국인의 밥상에 빠질 수 없는 양념채.. 더보기 도리깨질로 타작하고 키질로 까부르며 정성 다한 우리 팥 도리깨로 타작하고 키질로 까부르며 정성 다한 우리 팥 글‧사진 문재형 편집부 동짓날 팥죽과 고사상 시루떡팥은 한국·일본·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어왔고 함경북도 회령군 오동의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출토될 정도로 오랫동안 재배해온 작물이기도 하다. 거친 토양에서도 잘 자라고 이른 봄에 심지 않아도 돼 농가에서 별다른 부담 없이 재배해왔다. 주로 여러 잡곡과 섞어 밥을 지어 먹었으며 각기병의 치료제로 쓰이기도 했다. 예부터 팥의 붉은 빛은 귀신을 쫓는다 해서 우리 민족의 풍습에서는 주술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 특별한 날에는 액을 막기 위해 팥이 듬뿍 들어간 고사떡을 만들어 이웃과 나누었고 밤이 가장 길어 음기가 강한 동지에는 팥죽을 쑤어 대문이나 담벼락에 뿌리기도 했다. 새로 이사 온 이웃이 .. 더보기 정직한 땀이 길렀다는 말 예사롭지 않구나, 고구마 정직한 땀이 길렀다는 말 예사롭지 않구나, 고구마 글·사진 문재형 편집부 고구마 농사는 씨고구마를 마련하는 지난해 가을부터 시작되었다. 가을에 수확을 하면서 크기가 자잘한 씨고구마용 고구마를 따로 선별한다. 2월 말이 되면 겨우내 잘 간직한 씨고구마를 2달 정도 온상에서 키워 싹을 틔우는데 이 시기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온도가 너무 올라가면 싹이 타 죽어버리고 온도가 너무 내려가면 얼어 죽기 때문이다. 일반 고구마 재배농가에서는 시장에서 싹을 사다 심고 간단히 끝낼 일이지만, 한살림 고구마산지에서는 자가 채종을 통해 더욱 믿을 수 있는 고구마를 생산하기 위해 수고를 마다하지 않는다. 생산자들은 2달 동안 고구마 온상 근처를 맴돌며 아기를 키우는 마음으로 씨고구마를 보살핀다. 깻묵, 농사 부산물 등.. 더보기 "사과 한 알이 절로 붉어질 리 없다" "사과 한 알이 절로 붉어질 리 없다" 더 안전한 한살림사과 위해 더 많은 땀 쏟아요 글·사진 문재형 편집부 사과가 본격적으로 수확되는 것은 가을이지만 사과 농사는 이미 지난 해 겨울부터 시작되었다. 겨울부터 봄이 올 때까지 가지치기를 하고 과수원에 퇴비를 뿌려 땅심을 돋운다. 4월 하순경에 싹이 트고 5월 초에는 팝콘이 터지듯 꽃이 피어난다. 이때부터는 꽃을 솎아주는 작업이 시작되어 농부의 손길이 더욱 분주해진다. 5월부터 6월까지는 열매를 솎아주는데, 이때 나무 밑에 너무 풀이 많이 자라지 않도록 베어주어야 한다. 어느 정도 사과가 자라면 감홍이나 양광같이 고두병이 심한 품종은 방제를 위해 봉지를 씌운다. 8월부터는 사과를 수확하기 시작한다. 한 겨울이 오기 전, 11월까지 수확을 한다. 그러고 나면.. 더보기 한입 베어 물면 달콤한 과즙이 입 안 가득히 한살림 복숭아 한입 베어 물면 달콤한 과즙이 입 안 가득히한살림 복숭아 꿩들이 알을 품는 깨끗한 자연에서 왔어요 글·사진 문재형 편집부 이글거리는 태양 아래 푸른 생명의 기운이 무성한 이즈음, 다양한 먹을거리들이 우리 밥상을 수놓는다. 복숭아는 예부터 불로장수의 영물(靈物)이라 신선들도 즐겨먹었다고 전해온다. 달콤한 과즙에 영양소도 풍부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여름철 대표 과일 복숭아 복숭아는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복사나무의 열매이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삼국사기’ 등에는 우리나라에서도 고대로부터 재배해왔다는 기록이 전해온다. 전 세계에서 사과, 배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는 과일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사과, 귤, 감, 포도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다. 복숭아는 연평균기온 12~15℃ 정도 되는 온대지역에서 잘 .. 더보기 태양과 바람이 남긴 바다의 맛, 한살림 소금 이 계절 최상의 결정이 만들어진다 태양과 바람이 남긴바다의 맛, 한살림 소금 글 정미희 편집부 태양이 작열하는 염전 한 가운데 마하탑 유억근 생산자가 부지런히 소금을 그러모은다. 자연이 선사하는 황금의 때를 놓칠 수 없기 때문이다. 좋은 소금이란 모름지기 쓴맛이 없고, 그 끝맛은 달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소금이 짧은 시간에 결정 結晶 하여야 하는데, 일교차가 적은 한여름(5월∼9월)이 최적의 시기다. 인류가 이용해온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조미료이자 음식의 기본 맛을 내는 양념인 소금은 이 계절을 지나며 가장 보석 같은 맛을 간직한다. 우리 밥상에 주로 쓰이는 소금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와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만든 천일염과 바닷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어낸 정제염으로 구분된다. 천일염은 정제.. 더보기 풀벌레와 함께 자연 의 섭리대로 키운 한살림 참외 글 이윤정계절이바뀌면 자연에서 나는 소중한 먹을거리도 달라진다. 때때로 우리는 딸기를 보고 봄을 알아차리고 햇밤을 보며 가을을 느낀다. 참외도 마찬가지다. 샛노란 빛깔의 싱싱한 참외는 언제나 여름과 함께 찾아온다. 예부터 참외는 차가운 우물이나 계곡물에 담가두었다가 시원하게 먹 곤 했다. 무더위를 식혀주는 시원한 참외의 단맛은 비단 입에만 이로운 게 아니다. 참외는 수분 함량이 약 90%에 달해 갈증해소에 좋고, 체외로 나트륨이 배출되도록 돕는 칼륨의 함량까지 높아 이뇨작용에 좋다. 맛은 좋을지 몰라도 수분 외에는 별 영양소가 없으리라 얕잡아 보았다면 참외가 서운해할지 모른다.무더운여름,우리 몸은 자칫 산성화될 수 있는 데 참외는 이를 막아주는 알칼리성 식품이다. 그밖에도 단백질과 탄수화 물이 많으며 칼.. 더보기 달콤하지 않지만 쓸모가 무궁무진, 매실 남녘에서 매화가 피었다는 꽃소식이 전해오면 우리는 비로소 계절을 실감한다. 시린 겨울을 견디고 맞이하는 봄은 꽃때문에 더욱 감격스럽다. “밥은 우주의 젖”이라던 해월 선생의 말씀을 떠올리지 않더라도, 우리가 먹는 수많은 음식들이 우주만물, 생명이 순환한 결과로 맺어진 것임을 이 계절 더욱 실감하게 된다. 매화가 사군자 중에서도 맨 앞에 호명되는 것은, 겨울이 채 물러가기도 전에 더러는 눈보라 속에서 절개있게 꽃을 피우는 그 기상 때문 일것이다. 매실梅實은 말 그대로 매화의 열매다. 매실은 여느 과일들처럼 그저 달콤하지는 않다. 오히려 시디시다. 매실은 신맛 때문에 과육을 그대로 먹지 않는 거의 유일한 과일이다. 신맛은 구연산 등 유기산이 풍부하 기 때문인데, 이는 위장 기능을 활발하게 해 소화를 돕고 식.. 더보기 한살림유정란, 자연스럽게 낳아 품으면 병아리가 된다 얼마 전부화되다만 계란이 제과점 등으로 대량 유통되었다는 언론보도 때문에 사람 들은 충격을 받았다. 지난 한 해 동안 우리나라 사람 한 명이 238개, 전 국민이 116억3천2백만 개 이상의 계란을 먹었다. 거의 매일 밥상에 오르는 먹을거리라 뉴스의 파장은 컸 다. 먹을거리를 돈벌이의 수단으로만 생각하는 사람들 때문에 이런 이들이 종종 벌어진다. 건강한 계란을 안심하고 먹을 수 없을까 고민하는 분들에게 한살림 유정란은 좋은 대답이다. 한살림 유 정란은 그 자체에 생명의 기운이 고스란히 담겨있기도 하지만 병아리를 닭장에 넣는 순간부터 유 정란이출하될때까지약정에따라일관되게관리하고있어그릇된계란이섞여들우려가전혀없다. 또한 닭장의 환경이나 병아리들이 자라나는 과정 모두에 생명 감수성이 세심하게 반영된 귀한 먹을거..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