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살림소식

알고 먹으니 참으로~ 신비롭고 귀한 꿀이로다 꿀의 어원 우리는 단맛을 꿀의 본질로 여기지만, 영어 단어의 어원은 색깔에서 나왔다. 허니(honey)는 ‘노란색’이라는 뜻의 인도유럽어 어원에서 나왔다. 인도유럽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꿀을 즐겼으며, 그것을 가리키는 단어가 따로 있었다. 그 어원인 멜티(melti)가 그것이다. 여기서 파생된 말들로는 설탕을 만들 때 나오는 당밀인 몰라세스(molasses), 오렌지 등으로 만든 잼을 가리키는 마멀레이드(marmalade), 달콤하다는 뜻의 멜리플루어스(mellifluous) 등이 있다. 달콤한 맛의 역사 인류가 단맛을 처음으로 맛본 것은 모유가 아니었을까. 그리고 자연에서 섭취한 과일이 그 뒤를 이었을 것이다. 더운 기후에 자라는 과일의 당도가 60%에 달하고, 온대지역 과일도 잘 말리면 당도가 매우 .. 더보기
[자연에서 온 이 귀한 것 7월] 백만송이 꽃들과 수억 번 날갯짓만으로 농축된 순꿀 꽃 따라 꿀 따라 벌처럼 사는 봉봉공동체 사람들 꽃 피는 봄이 오면 봉봉공동체 사람들은 벌과 함께 꽃을 찾아 나선다. 불어오는 봄바람에 꽃내음이 묻어나면 설레이는 마음으로 슬슬 떠날 채비를 한다. 꿀농사는 이미 지난 겨울부터 시작됐다. 예민하고 추위에 약한 벌을 위해 보온덮개를 몇 겹을 덮어 주고, 어떤 이는 아예 조금 더 따뜻한 남쪽으로 옮겨가 텐트에서 지낸다. 노심초사 겨울을 보내고, 건강하게 버텨낸 벌을 데리고 아카시아꽃 향기가 가득한 숲으로 찾아간다. 하지만 몇 해 전부터 아카시아꽃이 만개할 철에 비가 잦고, 날이 추워져 벌꿀을 따는데 애를 먹어 여간 조마조마한게 아니다. 아카시아꽃은 유난히 향이 진해 벌이 좋아하고, 군락을 이루고 있어 꿀을 따기에 적당하다. 아카시아꽃이 피는 5월경, 이 한 달.. 더보기
나는 삼십년 후를 상상하기가 두렵다 글|김은정 한살림고양파주 논살림위원장 오랜만에 텔레비전 뉴스를 통해촛불의 물결이 밝혀지는 것을 본다. 서민의 허리띠를 졸라매다 못해 젊은이의 미래마저 저당 잡은 등록금이 촛불을 들게 했다. 돌이켜보면 독재시대는 물론 최근의 광우병 쇠고기, 등록금까지 생존권의 위협 앞에 대중은 목소리를 높였고, ‘참는 것이 미덕’인 이 땅에서 대중이 모이면 큰 울림을 일으키곤 했다. 하지만 나는 지금 보다더 큰 울림과 변화의 물결을 바란다. 최근에는 거의 매해 사회문제가 된 구제역과 조류독감 같은 동물 전염병 때문에 생매장이 반복돼왔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육식을 탐닉하고 있다. '4대강 사업'은 전국의 강에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생명을 파괴하며 멸종을 부추기고, 공사현장의 노동자와 농민은 죽음으로 내몰려 비탄의 눈물.. 더보기
<살리는 말> 살림 “집에서 살림만 한다.” “딴 살림 냈다.” “한 살림 차렸다.” 등등 ‘살림’은 너무나도 쉽게 듣고 하는 말입니다. 살림은 이렇듯 한 가정을 꾸리고 만들어 나가는 일을 말하는 명사이기도 하지만 ‘살리다’는 동사의 명사형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상한 갈대를 꺾지 않고 꺼져가는 촛불을 끄지 않는 것과 같은 작은 살림도 있지만 수돗물을 아껴서 하천을 살리고 자가용대신 전철이나 버스, 더 나아가 걷기나 자전거 타기를 통해 맑은 공기를 살리기도 합니다. 농약이나 제초제를 뿌리지 않고 제 힘들여 힘들게 농사를 지으면서 온 우주에 깃든 낱 생명 하나하나를 살리기도 하고요. 또, 그렇게 온 힘들여 지은 농산물로 우리 모두의 생명을 살리지요. 목말라 곧 죽을 것 같아도, 너무 추워 열매를 맺지 못해 스스로의 씨앗을 만들.. 더보기
나물이야기 2011년 7월 / 명아주 7월의 나물이야기, 도라지밭에서는 잡초지만 밥상에선 맛깔스런 찬이 되는 명아주 한여름과 같은 날씨에 도라지가 밭에서 부쩍 자랐습니다. 파릇파릇 올라온 도라지순이 정말 귀엽습니다. 하지만 덤으로 잡초도 같이 올라왔어요. 도라지밭인지, 잡초숲인지 헷갈릴정도여요. 우리 강아지가 숨으면 보이지 않을 정도거든요. 그래서 온 가족이 달려들어 모두가 풀을 뽑기 시작했어요. 정말 뽑고, 또 뽑아도 끝이 안 보입니다. 제 남동생은 트랙터로 밀자는 제안까지 했어요. 하지만 그러면 잡초뿐만 아니라 도라지까지 망가지게 되지요. 동생들이 학교가고 혼자 풀을 뽑을 때는 강아지가 친구가 되어주었어요. 혼자 있으면 늘 보던 것들도 좀 더 찬찬히 들여다보게 되요. 수많은 잡초 중에서 유독 눈에 띄게 큰 것이 명아주입니다. 튼튼해서 옛.. 더보기
소식지 2호 붉은 해를 베어 문 한살림 아이야 그 맑은 웃음 끝까지 지켜주고 싶구나 - 단오잔치가 열린 충남 부여 소부리공동체에서 더보기
나물이야기 2011년 6월 / 개망초 화창한 봄날입니다. 집 주변의 풀을 살펴보는 것은 제 취미중의 하나입니다. 오늘은 어떤 풀을 보게 될까요? 벌써 집 주위는 온통 초록빛깔이 됐네요. 오늘 보니 개망초가 가장 많이 올라왔어요. 개망초는 ‘계란꽃’이라고 불리는데, 번식력이 강해 농사꾼들에게는 불편한 식물이죠. 그래서 이름도 개망초랍니다. 다 망한다고. 아직 밭이 비어있을 때 추위를 이겨낸 꿋꿋한 개망초는 다른 나물처럼 데쳐서 먹기도 합니다. 된장찌개에 넣기도 하고, 시금치를 대신해 잡채에 넣을 수도 있어요. 또 개망초의 꽃봉오리를 따다가 튀겨먹기도 한다네요. 오늘은 잎사귀를 따다가 무쳐먹기만 다음에 꽃봉오리가 올라온다면 꼭 튀겨먹어 볼거에요. 개망초 나물은 누구나 손쉽게 만들 수 있어요. 아주 살짝 익을 정도로 데친 다음에 찬물에 넣지 말고.. 더보기
<살리는 말> 한 한 우리말 ‘한’은 참 재미있는 말입니다. 서로 반대가 되는 뜻을 동시에 갖기 때문이지요. ‘하나’라는 뜻과 ‘크다’라는 의미를 동시에 갖는, 다른 언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말이기도 합니다. 하나라는 뜻도 아주 작은 크기로서 온전하게 존재하는 것을 뜻하기도 하지만 그 작은 하나, 하나가 모여서 만든 커다란 하나도 하나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지구의 소중함을 말하기 위해 ‘하나뿐인 지구’라는 말을 즐겨 씁니다. 셀 수없이 많은 태양계 속의 하나인 행성이라는 의미에서 지구는 하나로 존재합니다. 그러나 그 지구 속에는 사람만 헤아려도 70억 명이 살고 있고 생태계의 모든 생명체와 우리가 흔히 생명이 없다고 여기는 광물, 흙, 물, 공기들 까지 모두 얼마나 많은 하나, 하나를 품고 있는지 감히 계산 해 볼.. 더보기
호미로 긁어 풀을 맬 수 있는 마지막 시간 '나의 5월' 5월은? 아슬아슬한 계절이다. 풀이 자라는 계절이다. 호미로 긁어 풀을 맬 수 있는 최후의 계절이다. 봄 감자 고랑을 호미로 쓰윽 긁던 4월과 달리 5월은 손으로 잡초를 쥐어 뜯어야 한다. 당연히 풀 매는 시간은 4월과 견줄 수 없이 느리기만 하다. 손목 인대가 늘어나고 손가락이 저려온다. 햇살은 따가워지고 내 몸을 숨길 넓고 푸른 잎들은 충분히 자라지 않았다. ‘에잇 이깟 감자 밭쯤이야!’ 그냥 놔두고 싶다. 풀도 생명인데 지들도 살아야지 위안하고만 싶다. 그러나 포기할 수 없다. 포기하면 끝이다. 지금 뽑아내지 않으면, 전력을 다해 살아내지 않으면 모든 것이 아스라이 사라질지도 모를 5월. 나는 한때 1980년에 태어난 것이 슬펐다 열여덟 살이 되어 박노해의 ‘노동의 새벽’을 만났을 때, 김지하의 ‘.. 더보기
[2011.5.23. 한살림연합소식지 1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