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지 발자취/자연에서 온 귀한 것

<자연에서 온 이 귀한 것> 콩, 한반도에서 태어나 우리 몸과 역사가 되다



               콩, 한반도에서 태어나 우리 몸과 역사가 되다

콩은 우리 민족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작물이다. 우리나라에서 된장, 간장, 두부, 콩나물을 빼놓고 매일의 밥상을 차릴 수 있는 집이 얼마나 될까. 콩의 원산지는 남만주와 한반도 등 동북아시아 일대다. 수천 종에 달하는 야생콩들로부터 우리 민족의 농경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해도 크게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단백질 40%, 지방 18%, 섬유질 3.5%, 당분 7%. 흔히 ‘밭에서 나는 소고기’라 불리는데서 알 수 있듯 콩에는 영양분이 가득하다. 특히 단백질이 많아 먹을 게 귀하던 과거로부터 콩은 더 할 나위 없이 중요한 영양 공급원이 되어왔다. 신석기 시대에 토기가 발명되면서 숨 쉬는 그릇 안에서 콩은 발효가 되어 메주가 되고 된장과 뚝배기는 우리 민족의 상징처럼 자리 잡았다.  



한살림 콩에 담긴 갸륵한 뜻

안타깝게도 콩의 기원이 우리 땅에서 시작되었다고 해서 그 모든 가치를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미국은 1920년대 말부터 원정대를 보내 무래 4,578점(이중 3,379점은 한국이 고향이다)의 종자를 수집하고 이들 종자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확보하는가 하면 종자개량 등을 진행해 지금 세계에서 제일 콩을 많이 수출하는 나라가 되었다. 반면 콩의 종주국이랄 수 있는 우리나라의 콩 자급률은 8.7%에 불과하고 매년 수입량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90% 넘는 수입콩들이 이 땅에서 소비되고 있는데 그들의 연원도 알 수 없고 근래에는 그들 대부분이 유전자조작작물(GMO)일 것이라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 시중에서 흔히 쓰이는 식용유, 두부와 콩나물을 떠올리면 우리 음식의 외형을 하고 있더라도 그 안에 90% 이상은 수입콩들이 들어있다고 보면 된다. 또 한편에서는, 친환경이미지를 상품화한 국내의 한 기업이 중국 만주에서 대량으로 콩을 계약 재배하며 두부와 콩나물을 팔고 있다. 국산 콩의 설자리는 갈수록 좁아지고 있는 셈이다. 한살림은 충북 괴산과 강원도 홍천 등 전국 23개 산지에서 우리 콩을 생산하고 있다. 재배와 수확 등 농사 자체가 어렵고 기후 조건에 따라 생산도 불안정해 생산자 농민들이 어려움이 여간 아니다. 한살림은 콩을 비롯한 잡곡류가 작황에 따라 시중의 가격변동이 큰 품목임을 감안해 한살림 생산자들이 일정한 소득을 유지하며 콩농사를 이어갈 수 있게 수매가를 조정하는 가격연동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 땅에서 우리 밥상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콩 농사가 계속 이어지도록 한살림 생산자와 조합원들은 함께 노력하고 있다. 콩은 그저 단순한 하나의 작물이 아니다. 콩과 식물의 뿌리에 자라는 박테리아가 끝없이 질소성분의 양분으로 땅을 비옥하게 만다는 것처럼 오랜 세월 우리 강토와 밥상을 기름지게 지켜온 콩은 쌀과 함께 우리의 가장 중요한 식량 자원이다. 한살림 콩을 소비하는 일은 시장의 논리를 넘어 우리 농업과 콩이 자라는 농토를 보존하는 일, 그것을 통해 우리 지금처럼 매일의 밥상에 건강한 된장찌개를 올리고 두부와 콩나물을 먹을 수 있게 하는 어찌보면 거룩하기까지 한 일에 닿아 있다.

문재형 편집부